그것은 바로 “인생네컷은 돈 얼마나 벌려나?” 그럴만한 것이, 군인이 휴가를 나오면 대부분 하루에 한 개씩은 약속을 잡게 되고, 약속을 나가면 열에 아홉은 헤어지기 전이나 너무 취하기 전에 인생네컷(혹은 그와 동류의 프랜차이즈 즉석사진관 - 포토그레이, 포토이즘, 하루필름 등)을 찍으러 간다. 인생네컷을 찍을 때마다 매우 현금흐름이 괜찮은 사업 구조를 가지고 있고(무인 키오스크 운영, 유지비도 거의 안들 것 같음), 요즘 가맹점도 많이 생겼구나라는 관찰을 할 수 있었기에, 자연스레 즉석사진관 산업 자체에 대한 관심이 피어났다.
그래서 이번 주는 즉석사진관 프랜차이즈 산업에 대해 탐구해본다. 이와 더불어 오프라인 산업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서도 약간 적어보겠다.
그래서 얼마나 버나?
'인생네컷' LK벤처스, '실적 자신감' IPO 나선다
[금융 라운지] MZ 열광 ‘무인 사진관’ 카드 매출 300% 늘었다
’인생네컷’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LK벤처스는 22년 기준 매출액 250억, 영업이익 45억원을 기록했다. LK벤처스는 인생네컷 이외에도 마스크와 방역 관리 플랫폼인 소독게이트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데, 인생네컷이 현재 가장 주력 아이템인 것으로 보아 250억의 대부분의 인생네컷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듯 하다. 또한 이들은 현재 70% 가량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First Mover로 (국내에 사실상 즉석사진이라는 아이템을 보급화한 주역), 지금까지 보광인베스트먼트로부터 20억원의 투자를 받은 것 이외에는 별도의 투자 라운드를 진행한 적이 없다.
월매출 1000만원에 마진율 70%
셀프 사진관 초기 창업 비용은 얼마나 들까. 여러 브랜드 답변을 종합한 결과, 임대료와 권리금을 제외하면 1억원 수준(10평 기준)이다. (…) 별도 운영비가 들지 않는다는 점은 셀프 사진관 창업이 갖는 최대…
Keep reading with a 7-day free trial
Subscribe to Deokhaeng's Upwind to keep reading this post and get 7 days of free access to the full post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