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okhaeng's Upwind

Share this post

User's avatar
Deokhaeng's Upwind
레딧은 web3의 구세주가 될 수 있을까

레딧은 web3의 구세주가 될 수 있을까

23년 1월 셋째 주, 설 연휴를 즐기며 전해드립니다.

Deokhaeng Lee's avatar
Deokhaeng Lee
Jan 22, 2023
∙ Paid
8

Share this post

User's avatar
Deokhaeng's Upwind
레딧은 web3의 구세주가 될 수 있을까
Share

이번주는 레딧(Reddit)에 대해 써보고자 한다. 대부분 잘 아시겠지만, 미국판 디시인사이드라고 불리우기도 하는 미국 최대의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 업체다. 레딧의 역사는 꽤 길다. 2005년에 설립되었고, Y 컴비네이터가 정말 초창기에 투자한 회사 중 하나이기도 하다 (지금처럼 YC가 위대한 존재이기 이전에).

“Front Page of the Internet”

그렇다면 왜 이제와서 시작된지 17년이 된 회사를 주목하는 것일까?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 레딧이 23년에 시가총액 15~17조원 규모로 IPO를 시도하고자 한다는 이야기가 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자 할 것이다.

  • 아마 그러한 노력 중 하나로, 레딧은 작년 7월에 Collectible Avatars라고 명명된 일종의 NFT 마켓플레이스를 서비스에 추가하였다. 그 이후로 계속하여 블록체인과 관련된 기능들을 개발하고 있다.

사실 작년 7월에 출범된 기능을 지금에서야 집중적으로 다루는 것은 늦은 감이 있다. 부끄럽지만 레딧의 소식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않다가 최근에 레딧 앱을 직접 들어가보고 나서야 NFT 아바타와 크립토 지갑 기능이 새로 나왔다는 사실을 인지했다. 이후 곧바로 인터넷을 뒤지며 후다닥 여러 소식들을 캐치업했다 😢

지난 글 이후로 21명의 구독자 분들이 새로 함께해주셨습니다. 지금 Upwind를 구독하시고 매주 소소한 즐거움과 배움을 얻는 95명의 대열에 합류하세요!

어쨌든, 나는 개인적으로 레딧의 블록체인 실험이 지금까지 행해졌던 그 어떤 web3 관련 아이템보다도 적절하며 자연스러운 것이고, 그렇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이에 시의성이 떨어지더라도 이 글을 써야겠다고 마음먹었다.

왜 나는 위와 같이 생각하는지, 그리고 나의 그러한 의견이 현실적으로 어떤 변수들과 맞닿아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

들어가기에 앞서…

레딧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분들을 위해 레딧의 기능 몇 가지를 요약해 보았다. 레딧은 서브레딧 (subreddit) …

Keep reading with a 7-day free trial

Subscribe to Deokhaeng's Upwind to keep reading this post and get 7 days of free access to the full post archives.

Already a paid subscriber? Sign in
© 2025 Deokhaeng Lee
Privacy ∙ Terms ∙ Collection notice
Start writingGet the app
Substack is the home for great culture

Share